HTML 2

[html] 마크업(Markup) 과 마크다운(Markdown)

오늘은 출근길에•• 월요일이지만 내일 광복절이다 아자 .ᐟ ٩꒰⍢ ꒱۶ 깃허브 리드미 부분 수정할 일도 있고, 이번주가 학회 해커톤이라 웹사이트 제작을 한창 마무리하고 있어서 내 눈에 문득 마크업과 마크다운이라는 단어가 확 들어왔다. 웹 개발자, 혹은 입문자라면 정말 많이 들어봤을 cs 지식일 테지만 헷갈릴 사람이 많을 것 같다고 생각했기에 오늘의 단어로 결정 ! 처음에 두 단어를 들어봤을 때에, 흔히 이런 글을 보았다. Markdown은 Markup language의 일종이다 왕초보 개발자인 나에겐 이 말이 무슨 말인지도 전혀 감이 안 잡혔었고, Markup language는 또 뭐지? 라는 생각도 들었었다. 🖋️Markup Language-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는 형식을 나타내거나 데이터의 논리적인 ..

[html] script / script async vs script defer 차이

오늘은 월요일이니 특별히 용어 세 개 ! 사실 세 단어로 보이지만 script async 와 script defer 을 비교하기 위해 넣은 것 ..! 🤭 오늘은 이 두 개의 단어를 장단점을 기반으로 비교하는 흐름으로 작성해 보러 한다. 1. 2. + defer 먼저 defer 속성도 브라우저는 스크립트를 백그라운드에서 다운로드한다는 점에서 async속성과 공통점이라고 볼 수 있다. defer 속성도 html 파싱과 동시에 스크립트를 다운로드 한다. 그러나 defer는 async와는 달리 다운로드된 js 파일은 DOM(페이지) 생성이 완료된 직후에 실행된다.(=DOMContentLoaded 직후) 그래서 defer 속성은 DOM을 조작해야 하거나, HTML이 모두 파싱된 후 실행되어야 하는 코드이거나, H..